비문증/망막박리
비문증이란?
안구는 투명한 젤리성분인 유리체로 채워져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유리체의 수분이 빠져나가 부피가 줄어들어 눈 뒷쪽의 망막으로부터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을 후유리체 박리증이라고 말하며 노화현상의 일종으로 생각합니다. 이 때 응축된 유리체로 인한 경미한 혼탁이 흔히 발생하며 빛이 통과하면서 망막에 그림자를 만들기 때문에 까만 점이나 날파리같이 보입니다. 흔히 `모기가 떠다닌다'고 하여 날파리증 또는 비문증 (飛蚊症) 이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어떤 증상으로 나타날까요?
하늘, 흰 벽과 같은 밝은 면을 볼 때 검은 점이 떠다니는 듯한 증상이 잘 나타나고 시선을 움직이면 그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 같이 보입니다. 처음엔 한두 개에서 시작되어 점차 숫자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후유리체 박리나 망막열공 (망막에 구멍이 났을 때) 이 있을 때 갑자기 나타나며 경한 초자체의 출혈이나 포도막염 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떤 치료가 필요할까요?
비문증자체는 대개 시력 장애를 주지 않지만 예민한 사람은 불편을 느끼기도 합니다. 따라서 시일이 흘러서 혼탁이 엷어지거나 적응이 될 때까지 심리적인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에 다른 이상이 동반되지 않으면 수술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증상이 심한 분들은 흰색 종이를 눈앞에 놓고 그 숫자나 범위를 체크해 보시고, 그 물체의 개수 범위가 급격하게 많아질 때는 안과에서 정밀 망막촬영을 해서 망막이나 초자체, 포도막에 큰 질병이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혼탁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커튼을 친 것 같은 시야장애, 혹은 번개불이 번쩍이는 듯한 불빛이 보이는 경우 망막박리 등의 치명적 질환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체 말고 안과 검사를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망막박리란?
망막박리란 망막이 안구 내벽으로부터 떨어져 들뜨게 되는 병적상태를 말합니다.
망막이 들뜨게 되면 망막의 영양공급이 않되어 시세포가 기능을 못하게 되고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영구적인 망막위축(변성)이 발생하여 실명하게 됩니다. 들뜬 망막을 유착시키려면 대부분 망막수술이 필수적이며 심한 경우에는 유리체 절제술이 필요하게 됩니다.
(사진). 11시에 망막열공을 동반한 망막박리 소견
망막에 구멍(열공)이 생겨 망막의 아래쪽에 액체가 고이게 되어 망막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고도근시, 망막주변부의 변성, 무수정체안 (백내장 수술후), 외상 등이 원인입니다.
견인 망막박리 | 당뇨 망막병증, 고혈압, 안구천공상후, 포도막염, 망막혈관염 등에 의하여 눈속에 흉터 조직이 자라 망막이 구겨지고 들뜨게 되는 경우입니다. |
---|---|
삼출 망막박리 | 안구내 종양, 눈속 염증 등에 의하여 삼출액이 망막 하부에 고여서 발생합니다. |
망막박리의 증상
비문증(날파리증), 광시증, 커텐을 친 것과 같은 시야장애,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있을 수 있고 결국에는 시력장애를 초래합니다.
망막박리의 진단
입원 전에 안과 검사로 망막기능검사, 초음파검사, 안저촬영 등의 특수 검사를 필요에 따라 시행하고 입원 후 망막과 유리체의 이상부위 및 열공을 확인하고 정밀한 망막그림을 그리게 됩니다. 입원 전에 혈액검사, 소변검사, 흉부 엑스레이, 심전도,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여 전신 상태를 검사하고 마취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망막박리의 치료
당뇨 등의 원인으로 인한 견인 망막박리의 경우 유리체절제술로 유리체와 흉터조직을 제거하여 망막을 유착시키게 됩니다. 열공 망막박리는 반드시 수술이 필요합니다. 가능한 빨리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고, 수술 전에는 망막박리의 범위가 커지지 않도록 안정하는 것이 좋고 독서 등의 근거리 작업을 가능한 피하셔야 합니다. 공막돌륭술 및 냉동치료에 의한 안구 밖에서 망막을 유착시키는 방법과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여 망막의 흉터조직을 제거한 뒤 가스나 실리콘 기름을 주입하여 안구 안쪽에서 망막을 유착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병행하여 시행하게 됩니다. 가스나 기름을 주입한 경우에는 일정기간(1개월) 엎드리거나 옆으로 누워있는 등의 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합니다.